[3분증시] 어제 코스피, 미 휴장 앞두고 강보합 마감 外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증시와 우리 증시를 짚어보는 시간 '3분 증시'입니다.<br /><br />연합인포맥스 권용욱 기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간밤 미국 증시가 추수감사절 연휴로 휴장을 했죠.<br /><br />오늘은 국내 증시부터 정리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어제 코스피는 좁은 범위에서 움직이다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는데요.<br /><br />지수는 2,515 부근에서 마감했습니다.<br /><br />시장은 뚜렷한 모멘텀 없이 횡보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기관이 순매도했지만, 외국인이 순매수하며 지수 하단을 받쳤는데요.<br /><br />아무래도 미국의 추수감사절 연휴가 시작되니 국내 증시의 활력도 다소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서는 LG 화학이 2% 넘게 오르고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는 각각 1% 내외로 상승했고요.<br /><br />반대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1% 이내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네, 국내 증시와 미국 증시가 하반기 들어 수익률 격차가 더 커지고 있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한국과 미국 증시가 올해 유사한 흐름을 계속 보여왔지만, 하반기 들어서는 수익률 격차가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연초부터 5월 말까지는 코스피와 나스닥 지수가 각각 16%와 24% 오르며 유사한 흐름을 보였지만, 6월 이후에는 유사한 추세 속에서도 수익률 격차가 벌어졌습니다.<br /><br />이번 달 22일 기준 코스피는 연초 대비 12% 올랐지만, 나스닥 지수는 같은 기간 세 배나 더 큰 36% 정도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두 시장의 수익률 격차가 최근 들어 커진 이유가 있을까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미국이나 한국이나 모두 고금리에 대한 충격을 받았지만, 그것을 받아들이는 강도가 서로 달랐다고 볼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지난 7월 초부터 미국과 한국 국채 금리가 모두 급등하면서 주식시장에 악재가 된 것은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한국 증시가 고금리 충격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인 셈인데요.<br /><br />이런 차이가 난 것은 기본적으로 거시경제가 가지는 체력에 차이가 났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팬데믹 기간 이후 미국과 한국의 성장률은 뚜렷하게 역전됐는데요.<br /><br />한국의 경우 중국 성장률 둔화나 중국 부동산 시장 위험과 같은 불확실성에 미국보다 크게 노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또, 미국 나스닥 지수의 경우에는 주요 7개 대형 기술주를 일컫는 '매그니피센트 세븐'이 시장을 끌고 가는 힘이 막대했는데요.<br /><br />고금리 충격을 이런 대형 기술 산업이 충분히 상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대로 한국은 미국과 같은 강력한 산업 모멘텀이 부족한 편인데요.<br /><br />전문가들은 한국과 미국을 둘러싼 이런 여건들이 당장 크게 변하지 않는 만큼, 두 시장의 차별화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네. 마지막으로 오늘 코스피 전망까지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오늘 코스피는 뉴욕 증시 휴장 등의 영향으로 뚜렷한 방향성 없이 보합권 근처에서 출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오늘 밤부터 시작되는 뉴욕 증시는 현지시간 기준으로 오전 거래만 진행되는데요.<br /><br />국내 증시도 이런 분위기에 따라 한산한 거래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시장은 다음 주부터 발표되는 소비나 물가와 같은 국내외 경제 지표로 시선을 돌릴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